• 홈으로
  • |
  • 로그인
  • |
  • 회원가입
  • |
  • 사이트맵
  • |
  • 즐겨찾기 추가
  • 한국시설물안전진단협회 로고
  • 협회안내
    • 협회소개
    • 사업안내
    • 협회정관
    • 찾아오시는길
  • 입회안내
    • 입회안내
    • 협회회원현황
    • 안전진단전문기관
  • 입찰정보
    • 시설물안전법 입찰
    • 건설기술진흥법 입찰
    • 건축물관리법 입찰
  • 법령정보
    • 시설물안전법
    • 건설기술진흥법상안전관리
    •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상안전관리
    • 주택법상공동주택안전관리
    • 재난및안전관리
    • 국토교통부질의회신
    • 기술자노임단가
    •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
  • 구인구직
    • 구인
    • 구직
      • 아이콘 자유게시판
      • 아이콘 묻고답하기
      • 아이콘 협회소식
      • 협회소식
      • 홈 아이콘 홈 > 게시판 > 협회소식
    •  
      • 제 목
      협회, 박주경 회장 MBN뉴스 인터뷰
      • 작성자
      관리자
      • 작성일
      2020-08-05 오전 11:27:57
      • 조회수
      1921

      폭우 속 다리 밑 노후 배수관 "낙하주의보’

       

      【 앵커멘트 】

      다리 밑에 보면 빗물을 내보내기 위해 배수관이 설치돼 있는데요.

      요즘 같은 장마철이면 특히 낡은 배수관을 토사 등이 막아 밑으로 떨어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고 합니다.

      사실상 흉기나 다름없는데요.

      박은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

       

      【 기자 】

      옛 행주대교 아래, 비닐하우스에 구멍이 뚫려있습니다.

       

      2004년 폐쇄된 구행주대교의 배수관이 지난 6월 다리에서 떨어져 발생한 흔적입니다.

       

      평소 다리 아래로 어선이나 보행자들도 오가는데,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4미터 길이의 배수관이 끝부분만 남기고 땅 속에 박힐 정도로 아찔한 사고였습니다.

       

      ▶ 인터뷰(☎) : 인근 주민

      - "대교가 땅 위에도 있고 물 위에도 있잖아요. 그 땅 쪽에 있는 배수관이 떨어졌는데 비닐하우스로 뚫고 들어가서…."

       

      문제는 낡은 배수관 낙하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한다는 점입니다.

       

      지난해에는 동호철교의 배수관이 떨어져 차량이 파손됐고, 2015년에는 방화대교의 배수관이 어선 근처에 꽂히기도 했습니다.

       

      ▶ 스탠딩 : 박은채 / 기자

      - "보시는 것처럼 보행통로인 이곳에도 배수관들이 곳곳에 매달려 있는데요. 별다른 완충장치 없이 노출되어있어 떨어지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."

       

      대부분 배수관이 녹슬거나 구멍이 125mm 정도로 좁아 빗물과 토사 등을 제대로 내보내지 못하면서 사고가 일어나는 겁니다.

       

      ▶ 인터뷰 : 박주경 / 한국시설물안전진단협회 회장

      - "지금 한강상에 교량이 30년 이상된 노후교량입니다. 배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약 150mm 관경(지름)이 필요합니다. 그것을 그 관경이 안 되는 배수관에서 문제가…."

         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폭우로 토사 등이 쌓여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낙하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졌지만, 관리자가 명확히 어디인지도 분명치 않습니다.

       

      ▶ 인터뷰(☎) : A 지자체 관계자

      - "교량 전체는 안 해요. 한강 유역 넘어와 가지고 한강 끝선 있거든요. 끝선까지는 대교로 보거든요."

       

      ▶ 인터뷰(☎) : 국토관리청 관계자

      - "저희과는 건설 중인 현장에 대한 점검을 하는 부서거든요. 현장에 대한 검사를 하는 부서라…,"

       

      장마철 낡은 배수관은 언제든지 흉기로 돌변할 수 있어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.

       

      MBN뉴스 박은채입니다.

       

       

      <출처 - MBN뉴스>

        https://m.mbn.co.kr/news/all/4238205

       

      다음글 협회, 책자발간 추진회의
      이전글 협회, 회원사에「2020 국토안전 (건설·시설) 경진대회」적극 참여 요청 공문 보냄
       
       
 
  • 한국시설물안전진단협회 하단로고
  • 홈 | 협회안내 | 입회안내 | 법령정보 | 안전진단전문기관 현황 | 협회정관 | 개인정보처리방침 |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
  • (06367) 서울시 강남구 광평로56길 14, 6층 (수서동, 하나빌딩)
    TEL : (02)567-1307, 070-4276-8659(실적관리) / FAX : (02)567-1337/ Email : assi1337@naver.com
    Copyright(c)2002 Association of Structural Inspection. All rights reserved.
  • 왼쪽화살표 아이콘
    아래아 한글 아이콘 MS Word 아이콘 MS PowerPoint 아이콘 MS Execl 아이콘 Adobe Acrobat 아이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