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홈으로
  • |
  • 로그인
  • |
  • 회원가입
  • |
  • 사이트맵
  • |
  • 즐겨찾기 추가
  • 한국시설물안전진단협회 로고
  • 협회안내
    • 협회소개
    • 사업안내
    • 협회정관
    • 찾아오시는길
  • 입회안내
    • 입회안내
    • 협회회원현황
    • 안전진단전문기관
  • 입찰정보
    • 시설물안전법 입찰
    • 건설기술진흥법 입찰
    • 건축물관리법 입찰
  • 법령정보
    • 시설물안전법
    • 건설기술진흥법상안전관리
    •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상안전관리
    • 주택법상공동주택안전관리
    • 재난및안전관리
    • 국토교통부질의회신
    • 기술자노임단가
    •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
  • 구인구직
    • 구인
    • 구직
      • 아이콘 자유게시판
      • 아이콘 묻고답하기
      • 아이콘 협회소식
      • 안전뉴스
      • 홈 아이콘 홈 > 게시판 > 안전뉴스
    •  
      • 제 목
      (보도자료) 3월은 교량ㆍ보수보강 기술 대세
      • 작성자
      관리자
      • 작성일
      2020-04-17 오후 6:30:33
      • 조회수
      2192

      2월에 비해 지자체의 재해 예방공사및 수리시설개보수 공사가 많았던 3월은 이와 관련된 교량ㆍ거더 및 구조물의 보수ㆍ보상과 관련된 특정공법의 쓰임이 돋보였다.

      13일 <건설경제>가 조달청의 나라장터 자료를 분석한 결과, 3월 한 달간 발주된 추정가격 10억원 이상 공공공사는 총 669건이며, 이중 97건(14.5%)에서 신기술ㆍ특허 등 특정공법 199건이 적용됐다.

      거더를 포함한 교량 관련 기술과 구조물의 보수보강에 사용되는 기술의 쓰임이 두드러졌다. 지자체의 하천지역 재해 예방사업 및 도로 확포장공사, 수리시설 개보수사업이 다수 발주된 영향으로 보인다. 한 달간 적용된 특정공법 199건을 세부공종별로 나누면 교량 관련 기술 기술이 40건, 구조물 보수보강 기술이 28건이었다.

      교량 기술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필요한 거더 관련 기술이 주로 적용됐으며 교량 포장 및 배수관 등의 기술도 일부 포함됐다. 특히 라멘교 시공과 관련된 기술들이 다수 쓰였는데 지자체의 라멘교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.

      구조물 보수보강 기술의 경우 농어촌 지역의 수원공 및 사각형거 등 기존의 수리시설을 보수하는 공사에 주로 사용됐다. 본격적인 봄철을 앞두고 농촌 지역의 농사를 대비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.

      교량, 보수보강과 함께 △수처리(17건), △관거(16건) 관련 기술들도 많이 쓰였다. 수처리 기술의 경우 각 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및 공공하수도설치공사에 적용됐으며 관거 기술의 경우 하수관로 정비사업에 사용됐다.

      이외에 산악 지역 도로의 낙석 등 자연재해를 낙기 위한 낙석방지망 등의 △방호(13건) 관련 기술과 수리 시설 및 기타 건설 공사에 적용된 △방수(11건) 기술도 사용이 돋보였다.

      특정공법 적용공사를 공종별로 분석하면 토목공사가 43건(44.3%)으로 가장 많았으며 △산업환경설비(29건, 29.8%) △시설물(9건, 9.2%) △상하수도(6건, 6.1%) △건축(6건, 6.1%) △조경(2건, 2%) △항만(2건, 2%)이다.

      가장 많은 특정공법이 적용된 공사는 서울지방조달청이 발주한 성남시 하수관로 정비사업(3단계)으로 하수관 비굴착 보수ㆍ보강 공법 등 12개 공법이 적용됐다.

      특정공법이 사용 건수 자체는 전달보다 늘었지만 신기술 사용 비중이 전달보다 오히려 떨어진 점은 아쉽다는 평가다.

      적용된 공법 199건 중 건설신기술 등 정부 공인 신기술은 43건에 그쳤는데 이중 현재는 제도가 폐지된 전력신기술을 제외하면 33건에 그쳐 전체 특정공법 중 고작 16.5%에 그친다. 24%를 차지했던 2월에 비해 1/3가까이 하락한 수치다.

      〈출처 - 건설경제〉

      다음글 (보도자료) 건축구조기술사회 대가기준 공정위 도마 올라
      이전글 (보도자료) 도로공사, 올해 교량ㆍ터널 대대적 정밀안전점검 및 성능평가 나선다
       
       
 
  • 한국시설물안전진단협회 하단로고
  • 홈 | 협회안내 | 입회안내 | 법령정보 | 안전진단전문기관 현황 | 협회정관 | 개인정보처리방침 |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
  • (06367) 서울시 강남구 광평로56길 14, 6층 (수서동, 하나빌딩)
    TEL : (02)567-1307, 070-4276-8659(실적관리) / FAX : (02)567-1337/ Email : assi1337@naver.com
    Copyright(c)2002 Association of Structural Inspection. All rights reserved.
  • 왼쪽화살표 아이콘
    아래아 한글 아이콘 MS Word 아이콘 MS PowerPoint 아이콘 MS Execl 아이콘 Adobe Acrobat 아이콘